1. 요약
녹조 발생 원인은 햇빛(일조량), 수온, 화합물(질소,인), 체류시간 4가지 요인이며, 이들 중 어느 하나만 제거하여도 녹조 발생을 방지 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.
현재까지 4대강 녹조 발생 원인을 제거하기 위하여 체류시간을 줄여서 녹조 발생을 해결하고자 보 수문을 일정 기간 열어서 효과가 있으면, 보를 제거할 수도 있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으나, 이러한 방법에는 보 제거에 따른 비용이 수천억이 추가로 소요된다. 뿐만 아니라, 보 설치에 따른 유익한 효과 또한 사라지게 되어 결국 아무런 효과 없이 경제적 손실만 초래하게 될 것이다.
따라서, 이러한 문제를 현재까지는 보 자체에서 찾을려고 노력하고 있으나, 보 설치에 따른 유익한 효과를 그대로 살리면서 녹조 발생을 억제 또는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이 있다면 문제는 크게 달라질 것이다.
2. 4대강 개발에 따른 문제점
4대강 녹조 발생에 따른 근본적인 문제점은 강 수심 변화에 있다. 즉, 녹조 발생의 원인 중 체류 시간(저수량/시간당유입량)을 증가시키는 원인으로서 당초 4대강을 운하로 이용할 계획으로 수심을 4~6미터로 변경시킨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을 수가 있다. 이러한 수심의 변화는 유속을 감소시켜 체류 시간을 증가시킨 요인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.
다음은 수심 변화에 따른 유속과 지류 변화에 따른 강물의 흐름 특성을 고찰 한 내용이다.
3. 저비용 고효율 녹조제거 방안
녹조 발생은 생물학적으로 특정 필수 인자와 조건을 갖추었을 떄 녹조가 발생하는데 요약에서 언급한 4가지의 요인을 제거하거나 그 조건이 불충분 하게 되면 녹조는 발생하지 않는다. 따라서, 현재까지 검토하지 않았던 햇빛(일조량)과 수온을 조절하는 방안으로 보에 저장된 수면 위에 남해안에서 굴양식에 사용하는 스틸노플 소재 부위를 크기 1미터 원형을 각각 연결하여 보 수면에 띄우면 일조량 방지 및 수온을 낮출 수가 있어 녹조 발생을 제거할 수 있다고 본다. 예를 들어 보 수 면적이 가로, 세로 각각 500미터 일 경우 250,000 평방미터 이고, 이때 필요한 부위 수량은 250,000개가 소요된다. 스티노플 부위의 비용은 매우 싸다. 따라서, 대략 1개 보에 설치되는 부위 비용은 약 5억 정도로 예상된다.
4. 부위 설치 후 보 수면 모습 (남해안 바다 굴 양식장 모습)
5. 경제적 효과
1) 녹조 발생 방지를 위한 보 제거에 소요되는 비용 절감
2) 현재 설치된 보로 인한 경제적 이득(수량 확보, 홍수방지)
'(주)피이에스구조기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미완의 4대강 사업 (0) | 2017.06.07 |
---|---|
4대강 녹조 발생 원인 (0) | 2017.06.02 |
열교환기 튜브 누설 원인 규명 및 구조설계 검토서 (0) | 2017.04.18 |
강구조물설계-트러스해석-6 (0) | 2017.04.11 |
강구조물-트러스해석-5 (0) | 2017.04.06 |